본문 바로가기
검색 기록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용어, 개념 쉽게 이해하기

by 루방기 2024. 12. 18.
Table of contents

     

    오늘 사용자 활동 및 참여 관련 데이터 분석 지표 용어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어요.

     

    이 지표들은 주로 디지털 플랫폼, 앱, 서비스의 사용자 활동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사용자 활동 지표

    • DAU (Daily Active Users)
      하루 동안 특정 플랫폼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고유 사용자 수 입니다.
      → 일일 사용자 참여를 측정하며, 플랫폼의 일상적 활용도를 나타냅니다
    • WAU (Weekly Active Users)
      주간 동안 특정 플랫폼을 이용한 고유 사용자 수 입니다.
      → 주간 단위로 활동성을 측정하며, DAU보다 완화된 분석에 적합합니다
    • MAU (Monthly Active Users)
      월간 동안 특정 플랫폼을 이용한 고유 사용자 수 입니다.
      → 월 단위로 서비스의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 입니다.

    사용자 행동 및 참여 지표

    •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 1명당 발생한 평균 수익 입니다.
    •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결제 사용자(Paying User) 1명당 발생한 평균 매출 입니다.
    • ARPDAU (Average Revenue Per Daily Active User)
      하루 동안 활성 사용자(Daily Active Users) 1명당 발생한 평균 매출을 측정하는 것 입니다.
    • ​Retention Rate (유지율)
      특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계속 이용한 사용자 비율 입니다.
    • NU (New Users , 신규 사용자)
      특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처음으로 이용한 사용자 수 입니다.
      → 신규 유입 성과를 측정합니다.
    • PU (Paid Users, 유료 사용자)
      서비스 내에서 결제를 완료한 사용자 수 입니다.
    • Churn Rate (이탈률)
      특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떠난 사용자 비율 입니다.
    • ​Active Rate (활성화율)
      전체 가입자 중 실제로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비율 입니다.
    • Returning Users (재방문 사용자)
      이전에 서비스에 접속한 적이 있는 사용자가 다시 방문한 수 입니다.
      → 유지율 및 사용자 충성도를 분석 합니다.
    • Session
      한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의 활동 기간 (방문 세션) 입니다.
    • Session Length
      한 세션에서 사용자가 플랫폼에 머문 평균 시간 입니다.
      → 앱/서비스의 사용 몰입도를 측정합니다.
    • Session Frequency
      사용자가 특정 기간 내 플랫폼을 이용한 평균 세션 횟수 입니다.
      → 사용자 참여 빈도를 나타냅니다.

    사용자 전환 및 가치 지표

    • LTV (Customer Lifetime Value)
      한 사용자가 플랫폼에 기여할 수 있는 총 매출 또는 가치 입니다.
    • Acquisition Cost (획득 비용, CAC)
      사용자 1인을 획득하는 데 소요된 평균 비용 입니다.
    • Conversion Rate (전환율)
      특정 행동(구매, 등록 등)을 완료한 사용자의 비율 입니다.

    앱/서비스 품질 및 몰입 지표

    • Stickiness (정착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지속적 참여를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 Engagement Rate (참여율)
      사용자가 서비스 내에서 행동(클릭, 좋아요 등)을 얼마나 많이 했는지 측정하는 것 입니다.
    • Bounce Rate (이탈률)
      서비스나 앱에서 한 번 방문 후 아무런 행동 없이 이탈한 비율 입니다.
    • NPS (Net Promoter Score)
      사용자 만족도 및 추천 의사를 평가하는 점수 입니다.

    광고 및 수익화 관련 지표

    • CPI (Cost Per Install)
      앱 설치당 광고 비용 입니다.
    • CPM (Cost Per Mille)
      1,000번 광고 노출당 광고비 입니다.
    • CPC (Cost Per Click)
      클릭당 광고비 입니다.
    • eCPM (Effective CPM)
      실제 수익에 기반한 1,000 노출당 수익 입니다.

    지표 분석은 쓰임에 따라 다르게 사용돼요.

    지출할 비용을 산정할 때 사용하기도 하고, 성과 분석에도 사용하기도하지만,

    사용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분석 자료로도 많이 활용된답니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해본 루방기~~ 기특하다~~~


    아래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마케팅 퍼널이란? AIDA vs AAARRR 모델 차이점 및 쉽게 이해하기

    마케팅 퍼널은 고객이 브랜드를 인지하고 최종적으로 구매에 이르는 과정과 각 단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마케팅 모델입니다. 퍼널(Funnel, 깔때기)이라는 이름처럼, 초기 단계에서 많은 잠재 고

    note1386.tistory.com

     

     

    마케팅, Marketing, 정의, 핵심 용어, 뜻

    마케팅이란 우리 삶 곳곳에 노출되어있는 핵심 영역이죠! 마케팅에 따라서 시장 판도가 바뀌는 일도 종종 일어나곤 하죠 ㅎ어떻게 노출이되냐, 얼마나 노출이 되냐에 따라 달라지니까요~ 오늘

    note1386.tistory.com

     

     

    서브컬쳐 뜻 유래, 서브컬쳐란?

    ‘서브컬쳐’는 현대 사회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용어로, 특히 젊은 층과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자주 언급됩니다. 서브컬쳐의 의미, 반대 개념, 유래, 그리고 대표적인 예시를 통해 이 개념을 심

    note1386.tistory.com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 용어, 개념 쉽게 이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