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검색어는 블록체인!
다 같이 블록체인에 대하여 알아봐요~
블록체인(Blockchain)은 분산된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여러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공유하면서도 신뢰가 유지될 수 있게 설계된 분산 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입니다.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묶어 연결하고, 각 블록은 암호화로 보호되어 조작이 어렵고 투명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분산 원장 기술 이란?
간단하게 말하면, 분산 네트워크의 참여자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합의한 원장을 공동으로 분산 · 관리하는 것!
중앙 관리자나 중앙 데이터 저장소가 없으며, 데이터 관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분산 네트워크 내의 모든 참여자가 거래 정보를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서로 복제하여 공유합니다.
이 거래 정보는 분산 · 관리하기 때문에 위조를 검출하고 방지할 수 있다. 분산원장기술(DLT)을 구현한 대표적인 예로 블록체인(blockchain)과 그물처럼 거래를 연결하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2)(DAG : Directed Acyclic Graph) 등이 있다.
블록체인은 가지치기를 통해 하나의 블록 연결만 허용하는 반면 DAG 분산원장기술은 네트워크 참여자들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블록체인에서는 블록을 의미한다) 연결을 동시에 허용합니다.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이더리움(ethereum), 하이퍼레저(hyperledger) 등이 있고, DAG 분산원장으로는 독일의 IOTA(l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프로젝트 해시그래프(hashgraph)등이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주요 특징
-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저장합니다.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므로 중앙 기관 없이 신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 변조 불가능성: 블록체인은 체인처럼 연결된 구조로, 한 블록의 데이터를 변경하려면 이후 모든 블록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은 매우 어려워 데이터를 사실상 변조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 투명성과 익명성: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록은 암호화되어 있어 개인 정보 보호가 가능합니다.
-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블록체인에 조건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 특정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거래를 완료.
블록체인의 작동 원리
- 거래나 이벤트가 발생하면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 생성된 데이터를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블록을 생성합니다.
- 네트워크 참여자(노드)들이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합의 과정을 거칩니다.
예: 작업 증명(Proof of Work), 지분 증명(Proof of Stake). - 검증된 블록이 기존 체인에 추가되어 연결 됩니다.
- 모든 참여자가 새로운 블록을 업데이트받아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해 분산 저장하게 됩니다.
블록체인의 주요 활용 사례
- 금융 및 암호화폐
우리에게 익숙한 비트코인(Bitcoin), 이더리움(Ethereum) 등 암호화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것 중에 하나입니다. 빠르고 안전한 금융 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중개자가 필요 없습니다. - 공급망 관리
상품의 이동 경로를 투명하게 기록하고 추적합니다.
예: 식품, 의약품, 명품의 유통 과정 확인. - 스마트 계약
계약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시스템입니다.
예: 보험 청구, 부동산 거래. - 의료 기록
환자의 의료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보안성과 접근성을 높입니다. - 공공 서비스
전자투표 시스템, 신분증 발급, 토지 등기 등 투명성과 신뢰가 중요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블록체인의 장점과 단점
- 장점
보안성: 데이터 위조와 해킹이 어렵습니다.
투명성: 기록이 모든 참여자에게 공유됩니다.
효율성: 중개자가 필요 없어 거래 시간과 비용이 절감됩니다.
신뢰성: 중앙 기관 없이도 참여자 간 신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단점
확장성 문제: 네트워크 참여자가 많아질수록 거래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에너지 소비: 일부 합의 알고리즘(예: 작업 증명)은 높은 전력 소비를 요구.
복잡성: 기술이 복잡하고 초기 도입 비용이 높음.
규제 부족: 아직 명확한 법적 규제와 표준이 부족한 상태.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블록체인은 금융, 공공 서비스, 의료, 공급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가져오고 있으며, 웹 3.0과 같은 새로운 인터넷 생태계 구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탈중앙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이터 주권과 개인 정보 보호를 강화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신뢰와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데이터 관리 패러다임으로, 기존의 중앙 집중형 시스템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가올 미래에는 블록체인의 쓰임이 더욱 많아질 것 같아요.
하나하나 공부해서 부족한 부분을 함께 채워 나가보아요~~~

'검색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3.0, Web 3.0, 웹쓰리가 뭔데? (2) | 2024.12.09 |
---|---|
건폐율, 용적률 개념 및 건축 형태를 좌우하는 규제 (0) | 2024.12.09 |
디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뜻, 디플레이션(Deflation) 알아보기! (4) | 2024.12.04 |
디폴트, 디폴트(default), 디폴트 뜻 경제 용어 알아보기! (2) | 2024.12.03 |
밈 뜻? 밈이 뭔가요?? 인터넷 밈(Internet Meme) (1)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