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기록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종류, 내용 알아보기!

by 루방기 2025. 3. 7.

최근 뉴스에서 연일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내용이 보도되고 있어요.

 

관세.. 뉴스로만 봐서는 이해도, 체감도 안되는 것 같아서 내용을 한번 정리해 보았어요~!

 

나쁜 사람 ㅠㅠ...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 개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2017~2021년)은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를 바탕으로 보호무역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특히, 높은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고,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려는 전략을 펼쳤죠.

트럼프의 주요 관세 정책

중국과의 무역전쟁 (US-China Trade War)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대중국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본격적인 무역전쟁을 시작했습니다.

  • 2018년 3월: 301조 조사(Section 301) 결과 발표
    - 중국의 지식재산권 침해 및 강제 기술 이전 문제를 지적
    -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 2018~2019년: 관세 추가 부과 및 중국의 보복
    - 2018년 7월: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 중국도 즉각 미국산 제품(대두, 자동차 등)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

  • 2018년 9월: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10% 관세 부과 → 이후 25%로 인상
    - 중국도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
  • 2019년 5월: 트럼프가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관세를 10% → 25%로 인상
    - 중국도 6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 확대

  • 2019년 9월: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 (15%) 부과
    - 중국도 75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

  • 2020년 1월 "1단계 무역 합의"
    -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에너지, 제조업 제품을 대규모 구매
    - 일부 관세 인하(15% → 7.5%), 그러나 대부분의 관세는 유지

✅ 결과:

  • 미국 내 기업과 소비자들은 높은 관세 부담
  • 중국은 보복 관세로 미국산 농산물·제품 수입 감소
  • 미국 기업들은 생산 거점을 베트남, 멕시코 등으로 이전

철강·알루미늄 관세 (Section 232)

2018년 3월, 미국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과 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철강: 25% 관세
  • 알루미늄: 10% 관세
  • 주요 대상국: 중국, EU, 캐나다, 멕시코, 한국, 일본 등
  • 캐나다·멕시코·호주 등 일부 국가에는 일부 면제 또는 쿼터(수입 제한) 적용

✅ 결과:

  • 미국 철강·알루미늄 생산업체들은 단기적인 이익 증가
  • 그러나 미국 내 자동차, 항공, 건설업체의 비용 상승
  • EU, 캐나다, 중국 등의 보복 관세 조치

자동차 관세 위협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독일·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거론하며 협상을 유도했습니다.

  • 2019년: 미국-일본 무역 협정 체결 → 일본산 자동차 관세 부과 보류
  • 2018년: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체결 → 자동차 부품의 미국산 비율 증가 조건 부과

✅ 결과:

  • 일본·독일 자동차 업계 긴장, 하지만 실제 관세 부과는 이뤄지지 않음
  • USMCA 체결로 북미 자동차 생산 비율 증가

유럽연합(EU)과의 무역 분쟁

  • 트럼프 행정부는 EU의 무역 장벽을 문제 삼아 자동차·농산물 관련 협상을 압박
  • 프랑스 디지털세 논란 → 미국은 프랑스산 와인·치즈·화장품 등에 100% 관세 위협
  • 보잉-에어버스 보조금 갈등으로 EU산 항공기·치즈·와인 등에 고율 관세 부과

✅ 결과:

  • 트럼프 임기 동안 EU와의 무역 협정 체결 실패
  • 양측 간 상호 보복 관세 지속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

GOOD! 미국 내 산업 보호

  • 철강·알루미늄 업계는 단기적으로 이익
  • 일부 제조업의 미국 내 복귀 증가

BAD! 소비자 부담 증가

  • 수입품 가격 상승 → 소비자 물가 상승
  • 미국 기업의 생산비 증가

BAD! 세계 무역 불확실성 증가

  • 미국과 중국·EU 간의 무역 갈등 심화
  •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바이든 정부 이후 변화

  • 중국 관세 유지: 바이든 정부도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대부분 유지
  • 동맹국과 관계 회복: EU·일본·한국과의 협상 재개, 일부 관세 철회
  • 반도체·배터리 산업 육성: 중국과의 기술 경쟁에 집중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 제조업 보호 및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표로 했지만,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하고 소비자 부담 증가, 공급망 혼란을 초래했어요.

 

바이든 정부로 들어서서 일부 정책은 유지 됐지만, 동맹국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하였지만 다시 트럼프 시대가 왔네요......ㅠ_ ㅠ 협박만 하던 자동차 관세는 이제는 현실이 되었어요..ㅠ_ ㅠ 

 

이러한 정책들로 인해 세계 물가에 영향을 끼치게 되겠죠..

 

관세를 높게 부과하는 것은 기업에 큰 부담을 끼치게 되지만, 결국 소비자들이 부담을 안게 되는 것이니 무턱대고 하면 안돼 트럼프야.......... 

 


다른글도 한번 읽어 보세요!

 

 

육아휴직 제도, 2025년 육아휴직 조건, 신청 방법, 기간 알아보기!

달라진 아니! 좋아진 육아휴직 제도!어떻게 좋아졌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2025년 1월 1일부터 바로 적용된 육아 지원 제도! 일하는 엄빠들~~~ 달라진 제도 꼭 확인해서 혜택 모두 챙겨가도

note1386.tistory.com

 

 

퇴직 연금, IRP란? 개념, 종류 알아보기!

퇴직 연금. 들을 때마다 헷갈리는 것 같아요!🙄그래서 오늘은 각각의 퇴직연금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퇴직연금의 종류와 개념은 비슷해 보이는데 목적과 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고

note1386.tistory.com

 

 

작곡, 작사, 미디의 차이점 – 음악 제작의 기본 개념

음악을 만들 때 흔히 접하는 개념 중 하나가 작곡, 작사, 미디(MIDI)이며, 음악을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이죠! 작곡, 작사, 미디가 각각 어떤 역활을 하여 음악이 제작되는지 함께 알아보아

note1386.tistory.com

도널드 트럼프의 관세 정책, 종류, 내용 알아보기!